@pfefferle @pfefferle @pfefferle.org @ma.tt @photomatt @jetpack.com
Issues with ActivityPub Integration in WordPress | WordPress.org
ko.wordpress.org에서 ActivityPub 활성화 가능성 검토
Personally, I believe that frontend interaction is crucial for WordPress Fediverse integration. Below are some suggestions and ideas rather than major issues.
현재 이 논의는 한국어 워드프레스 번역팀 내에서 공식적으로 진행되는 논의가 아닙니다. 다만, 한국 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를 확장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개인적인 아이디어입니다.
한국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는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역사도 짧습니다.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더라도 조직적인 활동을 펼치기가 어려운 환경입니다.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Slack보다는 디시인사이드 등의 인터넷 포럼과 비공식 카카오톡 그룹에서 논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한국어 워드프레스 번역팀은 코어, 테마, 플러그인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 웹사이트인 ko.wordpress.org를 전담하여 관리하는 운영자가 없습니다. 이로 인해 사이트 유지보수가 부족하며, 새로운 기여자의 유입이 적은 주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한국에도 많은 워드프레스 개발자와 사용자들이 존재합니다. 만약 이들이 한 줄의 번역이라도 기여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하지만 많은 잠재적 기여자들은 참여 방법을 몰라서 기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페디버스를 통한 한국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 확장
만약 한국의 셀프 호스팅 블로그들이 페디버스(Fediverse)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오픈소스의 진정한 가치는 이러한 연결과 공유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이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한국어 워드프레스 번역팀의 네트워크에 통합될 수 있다면, 보다 폭넓고 활발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워드프레스 미트업에서는 행사 요약을 seoul.wpmeetup.kr에 게시하지만, 가시성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 ko.wordpress.org/team 내에 로컬 밋업 전용 카테고리를 만들어 해당 글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 또는 페디버스 기능을 활성화하여 게시글이 페디버스 네트워크 내에서 ko.wordpress.org/team에 리블로그(부스트)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습니다.
기술적 실현 가능성 분석
파싱 검사 결과, Jetpack이 wordpress.org 자체에는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서브도메인 및 서브디렉토리 사이트에서는 작동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ordpress.org/news에서는 Jetpack의 워드프레스 리더 통합 기능 덕분에 ‘좋아요’ 버튼과 작성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즉, wordpress.org는 ActivityPub 플러그인을 통해 연합 기능(Federation)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는 Jetpack과 호환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페디버스 확장을 통한 기대 효과
만약 ko.wordpress.org 및 ko.wordpress.org/team 게시글이 페디버스(Fediverse, 예: 마스토돈, 스레드, 블루스카이, 미스키)와 연동된다면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시성과 참여도 증가 (더 많은 조회수, 반응 유도)
- 한국어 워드프레스 번역팀의 공식적인 인지도 상승
- 잠재적인 번역 기여자의 증가 가능성
현재 공식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및 페디버스 활용 현황
- WordPress.com
- Threads: @wordpressdotcom@threads.net
- Bluesky: bsky.app/profile/wordpress.com
- 블로그: 사용자 지정 도메인으로 Bluesky 핸들을 사용자 정의하는 방법
- Jetpack
- ActivityPub: @jetpack.com@jetpack.com
- Jetpack은 WordPress.com 호스팅을 사용 중으로 보임
- Bluesky: bsky.app/profile/jetpack.com
- WordPress.org
- 마스토돈: @WordPress@mastodon.world (Jetpack Social을 사용한 공유 가능성)
- Bluesky: bsky.app/profile/wordpress.org
- 공식 소셜 미디어 핸드북: Social Media – Make WordPress.org Marketing
Bluesky 연합을 위한 Bridgy Fed 활용
Bluesky와 페더레이션 연합하기 위해 Bridgy Fe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fed.brid.gy
- Bluesky 핸들: @bsky.brid.gy
열린 질문들
현재 ko.wordpress.org의 프로필 구조는 profiles.wordpress.org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ActivityPub 플러그인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핸들을 작성자 페이지와 연결합니다.
만약 ko.wordpress.org에서 ActivityPub을 활성화한다면, 사용자 핸들은 어떤 방식으로 설정될까요?
ko.wordpress.org/news에서 페디버스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주제
- wordpress.org/news 번역 게시글
- wordpress.com/blog 콘텐츠
- wordpress.com/go 가이드 콘텐츠
ko.wordpress.org/team에서 페디버스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주제
- 번역, 개발, 문서화 프로젝트 관련 글
- 서울 워드프레스 밋업 소식 https://seoul.wpmeetup.kr/
- WordPress Meetup Seoul (Meetup.com) https://www.meetup.com/ko-KR/wordpress-meetup-seoul/
- 워드프레스 번역팀 핸드북: 번역 방법 – WordPress 번역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한국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의 확장, 참여율 증가, 번역팀의 가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워드프레스에서 페디버스(Fediverse) 상호작용을 완전히 제어하려면?
워드프레스 내에서 페디버스(Fediverse)와의 상호작용을 완전히 제어하려면, **하위 디렉토리 구조와 유사한 커스텀 필드(custom fields)**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셀프 호스팅된 워드프레스의 3가지 네트워크 계층
- 내부 네트워크 – 사이트의 구독자 및 작성자로 구성됨
- Jetpack을 통한 워드프레스 전용 네트워크 – Gravatar 프로필 및 WordPress Reader 피드를 통합
- 페디버스 네트워크 – ActivityPub을 활용한 탈중앙화 상호작용
내부 네트워크 및 Jetpack은 계정 관리를 통합할 수 있는 반면, 페디버스는 다양한 서버에 걸쳐 사용자와 연결되므로, 기존 블로그와는 다른 표준화된 노트(note) 기반 상호작용 모델이 필요합니다.
전통적인 워드프레스 사이트 구조와 페디버스 연동
기존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페이지 구조를 가집니다.
- 홈페이지(homepage)
- 포스트 페이지(postpage)
- 작성자 페이지(authorpage)
이러한 구조를 페디버스와 연동하면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 포스트 페이지(postpage) → 페디버스에서 블로그 프로필 및 피드 역할 수행
- 작성자 페이지(authorpage) → 사용자의 프로필 및 피드 역할 수행
ActivityPub을 활성화한 다른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친구처럼 팔로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렇다면 WordPress Reader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셀프 호스팅된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트래픽 증가와 스토리지 부담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페디버스의 팔로잉 방식과의 차별화가 필수적입니다.
마이크로블로깅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마스토돈(Mastodon), 스레드(Threads), 미스키(Misskey) 같은 플랫폼은 전통적인 블로그 게시글보다 슬랙(Slack) 스타일의 오픈 채팅룸 혹은 짧은 형식의 콘텐츠 공간과 더 유사합니다.
따라서 페디버스 서버와 원활하게 상호작용하려면 워드프레스 게시글이 아래와 같은 형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 글자 수 제한 적용
- 이미지 첨부 기능 지원
- 제목 입력을 필수로 하지 않음
- 소셜 미디어 스타일의 멀티라인 댓글 지원
마이크로블로깅 방식은 기존 웹사이트 운영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이 형식에 맞는 커스텀 필드(Custom Fields) 구현이 필요합니다.
또한,
- 테마는 마이크로블로깅에 특화된 레이아웃을 적용해야 하며, 현재 활성화된 테마의 **자식 테마(child theme)**를 통해 스타일을 계승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사용자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도록 블록 기반 테마(block-based theme)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워드프레스가 블로그뿐만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와도 원활하게 융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좋은 주제네요!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페디버스(Fediverse)와 연동된 워드프레스 블로그에서 트래픽 및 저장소 부담 관리
- 기존의 워드프레스 리더(WordPress.com의 구독 시스템)와 비교할 때, 페디버스와 통합할 경우 트래픽과 스토리지(저장소) 부담을 줄이는 최적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 ActivityPub이 활성화되면 모든 페더레이션 댓글과 상호작용이 블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장기적인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까요?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싱(caching) 또는 마스토돈(Mastodon), 미스키(Misskey) 같은 분산 데이터 배포 시스템과 같은 오프로드 메커니즘이 필요할까요?
2. 마이크로블로깅과 기존 블로그 게시물의 차이점
- 기존 워드프레스 게시글과 마이크로블로깅(Twitter/Mastodon 스타일)의 구조가 다르다면, 워드프레스 블록 편집기(block editor)나 작성 UI를 어떻게 조정하면 좋을까요?
- ActivityPub 기반 플러그인이 Threads 필드에 “MicroPost” 블록 같은 전용 블록(block)을 추가하는 방식이 적절할까요?
3. 프로필과 피드 기능의 역할 분리
- 블로그 프로필과 사용자 프로필을 구분하는 개념을 언급하셨는데요,
→ 대부분의 셀프 호스팅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개인 운영이므로, 사용자 프로필이 덜 중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그렇다면, 솔로 블로거(Solo Blogger)는 페디버스를 어떻게 활용하면 가장 효과적일까요? - 블로그 프로필(@myblog@domain.tld)과 개인 프로필(@username@domain.tld)을
→ 별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요?
→ 아니면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더 적절할까요?
4. 팔로우/구독 모델의 차이점
- 페디버스에서는 사용자 간 상호 팔로잉(following)이 중심이고,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블로그 구독(subscription) 모델을 따릅니다.
→ 그렇다면 워드프레스 블로그도 사용자를 팔로우할 수 있어야 할까요?
→ 아니면 이것이 결국 일반적인 RSS 구독과 차이가 없어지는 문제를 만들까요?
5. 테마 및 UI/UX 개선 방향
- 페디버스 레이아웃을 적용할 때 **자식 테마(child theme)**의 스타일을 상속하는 방식을 언급하셨는데요,
→ 블록 테마(block theme)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플러그인과의 통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요?
→ 기존 테마에 페디버스 대응 UI를 추가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별도의 ActivityPub 전용 테마를 개발하는 것이 나을까요?
이 부분들을 명확히 하면, 페디버스 연동 전략을 더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맞아, 블로그 운영자는 항상 장문의 포스팅을 올리고 싶은 게 아니라, 간단한 생각이나 짧은 글을 공유하고 싶을 때도 있지. 이걸 워드프레스와 페디버스에서 어떻게 다룰지가 중요한 문제야.
1. 블로그 포스트 vs. 마이크로블로깅 (Microblogging)
- 기존 워드프레스 포스트(Post)
- 블로그 글처럼 제목 + 본문으로 구성됨.
- SEO 최적화, 카테고리/태그 분류, 독립된 URL이 있음.
- 블로그 아카이브에서 오래 남아 있음.
- 마이크로블로그 스타일 게시글 (Note/Status)
- 제목이 없어도 되고, 짧은 텍스트만 입력 가능.
- 트위터/Mastodon/Misskey처럼 간단한 생각 공유 가능.
- 댓글 개념이 아니라 스레드(쓰레드) 형식으로 이어짐.
- 블로그에 저장되지 않고 일정 기간 후 자동 삭제(옵션).
2. 기술적으로 어떻게 구현할까?
페디버스 스타일의 마이크로포스팅을 워드프레스에서 구현하려면 몇 가지 방법이 가능해:
A. “마이크로포스트”라는 새로운 콘텐츠 타입 추가
- 기존 “포스트”와는 별도로 “Microblog”라는 커스텀 포스트 타입을 추가.
- ActivityPub 플러그인과 연결해서, 마이크로포스트는 Mastodon/Misskey 스타일로 푸시됨.
- 블로그의 기본 피드(postspage)에는 표시되지 않게 설정 가능.
B. 커스텀 필드 + 블록을 활용한 마이크로블로깅 UI 추가
- 블록 에디터에서 “짧은 생각 공유하기” 같은 새로운 블록을 추가.
- 이 블록을 사용하면 블로그 포스팅 없이도 페디버스에서만 공유 가능.
- Jetpack의 소셜 미디어 공유 기능과 결합 가능.
C. 노트(Note) 개념을 도입하여 별도 데이터 저장
- 블로그 포스트처럼 저장하는 게 아니라, 단순한 상태(Status) 업데이트 개념으로 관리.
- Mastodon/Misskey처럼 프로필 페이지에서만 표시되고, 블로그 피드에는 안 나옴.
- 필요하면 삭제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 가능.
3. 페디버스에서만 공유하는 글을 어떻게 구분할까?
- “이 포스트는 블로그에 게시하지 않고 페디버스에서만 공유” 체크박스 추가.
- 워드프레스 대시보드에서 페디버스 전용 피드 제공 (ActivityPub API 활용).
- 블로그 글과 마이크로블로깅 피드를 분리하여 제공 가능.
4. 기존 블로그 운영 방식과 어떻게 조화될까?
- 기존 블로그를 유지하면서 페디버스를 활용하려면,
→ 블로그에 올리는 긴 글 & 페디버스에 올리는 짧은 글을 구분해야 함.
→ 트래픽 부담을 줄이기 위해, 블로그보다는 페디버스 내에서 직접 소통하는 구조가 유리함.
이런 방식이면 “페디버스에서만 간단한 생각을 공유”하는 게 가능할 거 같은데, 네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방식은 어떤 거야? 😃
WordPress에서 ActivityPub 통합 시 발생하는 문제
- 연합 네트워크에서 받은 댓글이 서로 다른 IP 주소로 중복 표시됨
- 예시: 마스토돈 포스트
- 일부 한국어 문자가 발췌문(excerpt)에서 “?”로 표시됨
- 본문에서는 정상적으로 표시되지만, 발췌문에서만 깨지는 문제가 발생함.
- 예시:
- Misskey에서 노트 업데이트 속도가 느리며, Threads.net에서 블로그 피드가 제대로 새로고침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