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story of the Korean WordPress Community (2007–2025)
한국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 역사 아카이빙 제안서
1. 📚 목적 (Purpose)
이 문서는 WordPress 한국어 로컬 커뮤니티의 주요 흐름과 전환기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여, 신규 기여자 및 해외 기여자들에게 구조적 이해를 돕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며, 공식적인 문서화 작업의 초안으로 삼기 위함입니다.
2. 🧭 문서 사용 대상 (Audience)
- 신규 기여자 onboarding 자료
- 한국 로컬 커뮤니티 관계자 및 이해 당사자
- 글로벌 Polyglots 및 Make 팀
- Automattic/Meta/Community 팀 등 워드프레스 국제 기여 그룹
3. 📅 주요 연대표 정리 (Chronological Summary)
- 1차 시기: 태동기 (2007–2015)
- 2차 시기: kopress.kr 중심 민간 커뮤니티 시기 (2016~?)
- 3차 시기: 공백기 및 정체기 (2017~2023)
- 4차 시기: 재편 시도 및 공식 커뮤니티 부활 (2024)
- 5차 시기: 구조적 정비와 공동체 복원기 (2024 하반기~2025)
각 구간에 대해:
- 주요 사건 (사이트 개설, 슬랙 채널 생성, 오거나이저 임명 등)
- 주요 인물 및 기여자 (LM/GTE/PTE 등)
- 공식/비공식 채널의 관계
- 커뮤니티 성격의 변화 (비공식 → 준공식 → 공식화 움직임)
🌟 핵심 요약
- 역사적 흐름: 공식 번역팀 중심 → 독립 커뮤니티 시도 → 공백기 → 상업-자발적 협력 재활성화
- 현재 상태: Automattic 연계 확대, 번역팀 재정비, Meetup 부활
- 향후 과제: 지속 가능한 구조 구축, 투명한 거버넌스, 신규 기여자 유입
타임라인 (2007–2025)
🔸 2003년 5월 27일: 워드프레스 출시일
- 환영합니다 – 워드프레스 뉴스 2003년 4월 6일
- 워드프레스 지금 사용 가능 – 워드프레스 뉴스
🕰 1차 시기: 태동기 (2007~2015)
🔸 2007년 10월 2일: 한국어 공식 사이트 ko.wordpress.org
개설 및 첫 게시글 업로드. 주요 활동은 WordPress 코어 번역 및 배포 중심으로 이루어짐
- 📍
ko.wordpress.org
한국어 사이트 첫 게시글 업로드 - ✍ 작성자: drssay
- ✅ 한국어 로제타 사이트 공식 개설
🕰 2차 시기: (2016~2017)
🔸 2016년 10월 5일: WordPress.org 팀 블로그 활성화를 위한 O2 플랫폼 개설
- 📍
ko.wordpress.org/team
Team O2 블로그 개설 - ✍ 작성자: WordPress.org 계정
- 🚀 번역팀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서 O2 활성화 시도
🔸 2016년 kopress.kr 독립 커뮤니티 개설 (2016~?)
- 📍 kopress.kr 도메인 기반의 비공식 민간 중심 사용자 커뮤니티 웹사이트 출범
- 👥 Facebook 그룹 생성
- 현재 멤버 수: 약 3,000명
- 이곳이 사실상 한동안 한국어 워드프레스 커뮤니티의 중심
- 프레스캣 님 등 일부 고참 개발자 존재
🕰 3차 시기: 공백기 및 정체기 (2017~2023)
- HelpHub 현지화 계획 회의 노트 – WordPress 번역
- #4615 (ko_KR Rosetta 사이트의 HelpHub 플러그인) – WordPress.org 만들기 2019
💤 2017~2019 – 커뮤니티 쇠퇴기
- 로케일 매니저 및 번역 책임자 권한 공백 발생
- 참여자 대부분 일상으로 복귀하거나 커뮤니티 이탈
- 🔕 팀 블로그 및 커뮤니티 채널에 거의 업데이트 없음
- 📬 ko.wordpress.org 내 업데이트는 산발적 (문서 누락, 오랜 무활동 간격)
- 📉 kopress.kr 비활성화 (도메인은 살아 있으나 사실상 운영 정지 상태)
2020년 이후 공백기
- 공식적 활동은 중단되거나 개인 일상, 요직 등으로 인해 활동이 줄어들었음.
- 명맥은 코스모스팜 / 쇼플릭 / 단비 등의 업체와 일부 개인이 비공식적으로 유지.
2020~2023년: 비공식 자발적 활동 재개. 카카오톡 그룹과 개인 중심의 소규모 활동으로 명맥 유지. Automattic과의 연결은 없었음
- 대화에 따르면 이은창 님은 올드 멤버들과 연락 가능한 거의 유일한 사람이며, 과거 로케일 관리자 권한도 넘겨받음.
- 이후 Duigital님이 Locale Manager로서 한국어 번역팀의 지속성을 이끌게 됨
- 카카오톡 그룹 ‘코스모스팜 / 쇼플릭 / 단비소프트’ 등 중심으로 명맥만 유지됨
- 워드프레스로 만들어보아요 (by: 영아, since 2017.05.04)
- 워드프레스 사용자 단톡방 (by: 대천사와이엘, since 2019.09.20)
- 워드프레스 개발하는 사람들 (by: 프레스캣, since. 2020.05.24)
🕰 4차 시기: 부활 움직임과 재정비 (2024)
✈️ 2024년 초 – WordCamp Asia 대만에서의 전환점
- 2024년 3월 9일: WordCamp Asia 2024 대만 행사에서 쇼플릭 직원들 참석, Automattic 직원들과의 만남을 통해 한국 커뮤니티 부활의 계기가 마련됨.
- 이 자리에서 남창우님이 WordPress Seoul Meetup 공식 오거나이저로 등록되며 서울 강남에서 첫 Meetup 개최.(3월 21일)
- 2024년 3월 19일: 한국어 로케일(ko_KR) 부활을 위한 자원봉사자 모집 시작. 주요 기여자들이 다시 활동에 참여하며 번역팀 재조직.
- 2024년 4~5월: WordPress Korea Slack 채널 재편성 및 다양한 작업 그룹 구성. 번역 표준화와 온보딩 문서 정비가 이루어짐
🔸 2024년 3월 9일
쇼플릭은 워드프레스 개발 및 호스팅 전문 기업으로, 회사의 직원들은 대만에서 열린 2024 워드캠프 아시아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그곳에서 Automattic의 직원들과 만나게 되었고, 그 중 한 명은 한국인 아내를 두고 있었습니다. Automattic의 직장 동료들은 한국인 아내를 둔 친구를 만나기 위해 한국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인연을 통해 WordPress Meetup의 공식 오거나이저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 자리에서 남창우님이 공식 오거나이저로 임명되었습니다. 이후 쇼플릭의 구성원들이 WordPress Seoul Meetup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쇼플릭이 위치한 강남의 공유 오피스에서 첫 번째 미트업을 주최하게 되었고, 이 미트업에는 Automattic 직원들이 참석하였습니다. 남창우님은 미트업을 주선하고, 강동혁 대표님은 워드프레스 개발 관련 세미나를 주최하였으며, 이은창 이사님은 번역 팀을 구성하여 워드프레스 생태계에 기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활동들이 이어져 현재의 상황에 이르게 되었습니다.워드프레스 번역에 기여하는 사람들이 특정 기업에 소속되어 있는 이유는 현재의 상황을 통해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 또한 워드프레스를 활용하여 개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분들이 비슷한 상황에 있습니다. 이는 워드프레스와 관련이 없는 직장인이 기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여를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개인에게 보람과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자선사업가가 아닌 이상, 이러한 기여는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상업적인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그곳에서 얻는 경험과 자원을 통해 기여의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만든 Matt Mullenweg도 워드프레스닷컴의 대표로서 상업을 통해 얻은 수익을 비상업적인 영역인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상업성과 기여는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024년 중반 – 공식 Meetup 및 번역팀 활동 본격화
🔸 2024년 3월 19일: 재건 출발점
https://make.wordpress.org/polyglots/2024/03/19/volunteers-needed-for-revival-of-ko_kr-locale/
- 📍 make.wordpress.org/polyglots 포스트
- ✍ 작성자: tobifjellner (Locale Mentor)
- 📢 한국어 로케일(ko_KR) 커뮤니티 부활 위한 자원봉사자 모집
- 💬 주요 댓글 참여자:
- Mincheol Im, JINGU YOUN, rpf5573, Taegon Kim, duigital, prsc, modelaid, drssay
🔸 2024년 3월 21일
WordPress Seoul Meetup #1 워드프레스 서울 미트업 #1, 2024년 3월 21일 (목) 오후 7:00 | Meetup
- 서울 강남 공유 오피스에서 WordPress Seoul Meetup 1차 개최
- Automattic 직원도 일부 참석
- 강동혁 대표(쇼플릭): 개발 세션 주최
- duigital 이사: 번역팀 재조직
- ko.wordpress.org 슬랙 재활성화 – 대부분 2024년 4~5월 생성
- Locale Manager (5명), GTE (8명), PTE (5명) 구성이 재정비됨
- 활동 중심: Automattic + 쇼플릭 + 단비 + 코스모스팜
🔸 2024년 4월~5월
- 📍 WordPress Korea Slack 조직 재편성(4월 4일~0516)
- 🎛 주요 채널 생성자: prsc(프레스캣)
- 생성된 채널 목록 (생성일자 포함):
#announcements
,#general
,#translation
,#glossary
,#style-guide
,#todo-list
,#meetup
,#notification
(prsc 주도)#tips-howto
(by 대천사와이엘 / 원앤원에이전시)
🔸 2024년 7월 30일
https://ko.wordpress.org/2024/07/30/워드프레스-6-6-dorsey-릴리스/
- 📍
ko.wordpress.org
최신 버전 릴리스 포스트 - ✍ 작성자: duigital
https://ko.wordpress.org/team/2024/07/30/서울-워드프레스-미트업에서-한국어-번역팀이-발표/
- 📍
ko.wordpress.org/team
팀 블로그 업데이트 - ✍ 작성자: prsc
🕰 5차 시기: 구조적 재편 및 공동체 기반 복원기 (2025~)
💡 현재 상황 정리
- 📊 Slack, O2 블로그, Rosetta 포스트가 모두 비활성화됨
- 공식 채널 기반의 커뮤니티 리빌딩은 아직 본격화 되지 않음.
- 구성원 다수가 과거 기여 경험자
🌱 2025년 – 커뮤니티 부활과 체계화 논의 방향
ko.wordpress.org
: 공식 로제타 사이트- WordPress Korea Slack: 커뮤니티 운영 재개 핵심 플랫폼이 될 필요가 있음
- 신규 기여자 유입 활성화 – 공식 번역팀, Meetup, Rosetta 뉴스 번역 등 참여
- 비공식 채널(예: 카톡 단톡방)과의 투명성, 상업성, 운영 문제 논의 → 커뮤니티 헌장/문서화 필요성 제기
- 커뮤니티 문서화/헌장화/기여 가이드 필요성 급증 중
- 🧭 번역 표준화(스타일가이드, 용어집) 및 온보딩 문서 정비 필요
- 🌍 WordPress Fediverse 확장, Meetup 관리, Planet-style 뉴스 피드 등 신규 방향 논의 가능성 있음
- ko.wordpress.org/ 및 커뮤니티 리디자인 기획
- 프론트와 백엔드 모두 다루는 기술자, 콘텐츠 제작자, 운영자 층의 분화 필요
- Locale Manager, General Translation Editor(GTE), Project Translation Editor(PTE) 등 역할 재정비.
- 공식 Meetup 및 번역팀 활동 본격화.
향후 과제
- 공식 채널의 목적과 범위 정의
- 신규 참여자를 위한 온보딩 가이드 마련
- 기여 이력 및 커뮤니티 헌장/규범의 문서화
- 기여 구조의 시각화
- 지속가능한 활동 구조 수립
- 투명한 리더십 및 역할 분산
- 오픈 거버넌스를 통한 커뮤니티 신뢰 회복
- 투명한 운영 체계 구축.
- 신규 참여자를 위한 온보딩 가이드 작성.
- 커뮤니티 헌장 문서화 및 기여 구조 시각화.
✍️ 제안: 문서화 및 명확화
1. 타임라인 정리
- 주요 사건 (예: kopress.kr 설립, 오거나이저 임명, 번역팀 조직 등) 을 시간순으로 정리한 문서를 만듭시다.
2. 공식/비공식 채널 구분 명확화
- “공식”이란 무엇인가? Automattic에서 인정하는 것인가? 아니면 커뮤니티 다수의 합의인가? 이를 명확히 하고 표기.
3. 기여 구조의 시각화
- 기여자의 유형 (상업적 개발자, 자원봉사자, 기여기업 등) 과 그들이 맡은 역할을 시각적으로 표현.
4. 새로운 참여자를 위한 온보딩 가이드
- “한국 워드프레스 커뮤니티에 처음 오셨나요?” 같은 문서/페이지를 통해 커뮤니티 구조, 기여 방법, 역사 소개.
💬 마무리 생각
현재 워드프레스 한국 커뮤니티는 ‘과거의 유산’과 ‘현재의 실천’ 사이에 브리지(다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해요. 다양한 시점을 받아들이고 조율할 줄 아는 분이 이 연결 고리를 정리해준다면, 참여 장벽도 줄고 오해도 줄어들 거라 확신합니다.
5. 📤 기여 방법
이 프로젝트는 GitHub를 기반으로 문서화 작업을 진행하며, 모든 커뮤니티 기여자들의 PR 또는 코멘트를 환영합니다.
- GitHub 저장소: [예시]
github.com/wordpress-kr/history
- 제안/이슈 템플릿:
- ✅ 잘못된 사실 수정
- 🔁 연대표 보완 요청
- 📩 신규 채널 또는 이벤트 추가 요청
📎 다음 단계
- GitHub 저장소 개설
README.md
,TIMELINE.md
,CONTRIBUTING.md
형태로 정리- Polyglots & Meta 팀에 제안 (make.wordpress.org)
- 한국 커뮤니티 슬랙 및 오프라인 밋업에서 오픈 토론 진행
📌 2024년 하반기 기준 주요 역할자 및 기여자:
Locale Manager (5명)
- drssay, duigital, JINGU YOUN, prsc, Taegon Kim
General Translation Editor (8명)
- drssay, duigital, JINGU YOUN, Mincheol Im, modelaid, prsc, rpf5573, Taegon Kim
Project Translation Editor (5명)
- Byungmun Yoo, Desert Themes, kayeon1213, Themes Daddy, yessiseatext
🔍 현재 커뮤니티 구조 분석
1. 공식 채널
- Slack: wpkr.slack.com (번역, Meetup 논의)
- 로제타 사이트:
ko.wordpress.org
- Meetup: 서울 워드프레스 미트업
2. 비공식 채널
- 카카오톡 오픈채팅: 사용자 단톡방, 개발자 모임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워드프레스 마이너 갤러리
3. 주요 기여자 & 기업
- 개인: Duigital, prsc(프레스캣), drssay
- 기업: 쇼플릭, 코스모스팜, 단비소프트
❗ 문제점 & 제안 솔루션
1. 과거 유산 vs. 현재 활동의 단절
- 문제: kopress.kr의 역사적 역할이 신규 기여자에게 전달되지 않음.
- 해결:
- 역사 문서화: 연대표 공개 + 주요 인물 인터뷰 시리즈 발행
- 공식 채널 내 “커뮤니티 역사” 페이지 추가
2. 투명한 거버넌스 부재
- 문제: 의사결정 과정이 불분명 → 참여자 간 신뢰 하락
- 해결:
- 커뮤니티 헌장 제정: 역할, 권한, 운영 원칙 명문화
- 정기 공개 회의: Slack 또는 유튜브 라이브로 진행
3. 신규 참여 장벽
- 문제: 온보딩 가이드 미비로 초보자 접근 어려움
- 해결:
- 단계별 가이드 문서:markdownCopy1. Slack 가입 → #introduction 채널에서 자기소개 2. 번역팀 참여 → #translation 채널에서 용어집 학습 3. Meetup 참석 → [seoul.wpmeetup.kr](https://seoul.wpmeetup.kr/)에서 일정 확인
- 멘토링 프로그램: 경험자-신규 참여자 1:1 매칭
🚀 향후 발전 방향
1. 커뮤니티 인프라 확장
- Fediverse 연동: ActivityPub 적용해 블로그 네트워크 구축
- GitHub 조직 개설: 번역 가이드, 스타일시트 공유
2. 상업-오픈소스 협력 모델 강화
- 기업 후원 프로그램: 쇼플릭, 단비소프트 등과 파트너십 체결
- 기여 인증 제도: 기업의 오픈소스 기여도에 따른 뱃지 수여
3. 글로벌 네트워크 편입
- WordCamp Korea 유치: 2025년 목표
- Automattic과의 정기 교류: 연례 세미나 개최
📌 결론: “함께 만드는 역사”를 위한 제언
한국 워드프레스 커뮤니티는 과거의 경험, 현재의 열정, 미래의 비전이 교차하는 공간입니다.
- 기존 멤버: 경험을 문서화하고 신규 참여자를 멘토링해 주세요.
- 신규 참여자: “완벽함”을 요구하기보다, 작은 기여부터 시작하세요.
- 기업: 오픈소스 기여가 단순 홍보가 아닌 생태계 성장의 토대임을 인지해 주세요.
함께라면, 한국 커뮤니티도 글로벌 워드프레스 네트워크의 핵심 축이 될 수 있습니다.
“기여는 계속되고, 역사는 쓰여집니다.”
📢 함께 읽어보세요: